유머토끼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글쓰기
일자순
조회수순

picc 폐렴으로 입원해서 아침 점심 저녁으로 수액맞는데 고열도 그렇고 원래도 혈관이

폐렴으로 입원해서 아침 점심 저녁으로 수액맞는데 고열도 그렇고 원래도 혈관이 없어서 picc심었거든요?심은지 6일 됐는데수약하기전에 식염수? 넣을땐 들어가는데 수액은 안들어가더라고요간호사 선생님이 picc 관을 밑으로 살짝 땡겨서 누르면 또 들어갔는데 계속 그렇게 할 수가 없어서 라인 새로 잡았어요왜이러는거예요?식염수 들어가는걸로 봐서 막힌거 같지는 안다더라고요오늘 점심까지도 잘 썻었거든요 오후에 맞으려고 하는데 갑자기 그랬어요

안녕하세요. 원자력병원-네이버 지식iN 상담의사 한철주 입니다.

** 아래 답변은 참고용이며 질문은 받지 않습니다.

PICC 라인(말초삽입 중심정맥카테터) 관련해서 겪으신 상황은 다음과 같은 가능성들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 현재 상황 요약

  • PICC 삽입 6일차

  • 오전까지 수액 잘 들어감 → 오후부터 수액은 안 들어감, 식염수는 들어감

  • 간호사가 PICC를 아래로 살짝 당기니 수액이 들어감

  • 결국 다른 말초혈관으로 라인 새로 잡음

가능한 원인들

1. 카테터 위치 변화 (Tip migration)

  • 가장 흔한 원인 중 하나입니다.

  • 기침, 체위 변화, 팔의 움직임, 고열 등으로 카테터 끝이 위치에서 살짝 이동하면 정맥 벽에 닿거나 꺾여서 수액 주입에 저항이 생길 수 있습니다.

  • 식염수 소량은 압으로 밀어 넣을 수 있으나, 중력으로 떨어지는 수액은 들어가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2. 혈관벽 접촉 or 주름 접힘 (Kinking)

  • PICC가 정맥 벽에 밀착되거나, 팔을 움직이면서 카테터에 주름이 생기면 흐름이 막힐 수 있습니다.

  • 당겼을 때 다시 들어간 것은 이 가능성을 지지합니다.

3. 피브린 슬리브 형성

  • 카테터 끝에 피브린 코팅이 생기면서 일방통행처럼 "주입은 막히고, 흡인은 되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하지만 아직 삽입 6일차로는 가능성이 조금 낮습니다.

4. 혈전 (Thrombus)

  • 카테터 주위 혈전도 한 원인이지만, 이 경우는 식염수도 잘 안 들어가거나, 통증, 부종 등이 함께 나타납니다.

  • 현재 설명으로는 가능성 낮음.

점검 및 해결방법

  • - 팔 위치 바꾸기 (위로 들어올리거나, 뻗은 채로 고정) → 흐름 회복되는지 확인

  • - 식염수 주입 후 흡인 가능 여부 확인 → 피가 잘 나오면 위치 이상 없음

  • - 카테터 라인 도수 X-ray 확인 → tip 위치 이상 유무 확인

정리

현재 증상은 카테터 위치 변화로 인해 정맥 벽에 닿아 수액이 들어가지 않는 상황일 가능성이 가장 높습니다. 당겨서 들어갔다면 일시적으로 위치를 되돌린 것이고, 지속적으로 그 상태를 유지하기 어렵기 때문에 결국 말초라인을 다시 잡은 것입니다.

이런 경우 보통 PICC 제거가 필요한 것은 아니며, 필요시 위치 확인 후 재조정하거나 유지하면서 주의 깊게 사용합니다.